금리 다시 상승하는 이유(역 전세/은행 채 금리)
서울 아파트매물이 늘었는데요. 역전세로 전세보증금을 돌려주기 위해 집을 팔겠다고 내놓은 매물들입니다. 임대인 전세보증금을 돌려줄 수 있는 임대인을 위한 전용대출을 알아본다고는 하지만 현실은 전세보증금을 돌려주 위해 더 낮은 가격으로 내놓은 물건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설령 임대인을 위해 대출을 해준다고 해도 기존 주택담보대출에다 추가대출까지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보니 임대인에게는 부담이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출금리가 다시 오르고 있는데요. 오늘은 금리가 다시 상승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리 상승 원인
이런 상황에서 대출금리가 다시 오르고 있습니다. 이제는 3%대는 사라지고 다시 5%대 대출이 대세입니다. 주택담보대출고정금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 5년물 금리가 지난 14일에 4.185%였습니다. 이 수치는 지난 3월에 4.29%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은행채금리가 지난 3월 다시 3%대로 떨어진 이후 쭉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는데 5월에 다시 4%대로 진입했고 이후 계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은행채 5년물 금리에다가 가산금리를 더해서 산정됩니다. 6월초 주담대금리가 하단이 연 3%대였는데 원가라고 볼 수 있는 은행채금리가 4%대를 넘어섰습니다. 시중은행 주담대 고정금리가 연 3.94%에서 5.76%까지 올라갔습니다. 이렇게 금리가 오른 이유는 시중 주담대 기준이 되는 은행채 금리가 계속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은행채 금리가 오르는 이유
은행채는 은행들이 시중에서 돈을 빌려올 때 발행하는 채권을 말합니다. 이런 은행채금리가 오르는 이유는 은행들이 은행채를 많이 발행하고 있는데 5월 들어 평균을 넘는 수준으로 발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난 금융당국이 지난 4월부터 은행채발행한도를 완화한 영향도 있습니다. 이렇게 채권시장에서 은행채물량이 늘어나는 만큼 은행은 경쟁사보다 조금 더 금리를 올리는 경쟁을 하다 보니 이것이 금리상승을 부추기는 원인 되었습니다.
은행채 발행이 늘어난 이유
은행채 발행이 늘어난 이유는 코로나로 인해 은행이 맞춰야 하는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이 완화가 되었었는데 6월 말부터 단계적으로 원상복구가 되기 시작하다 보니 은행에서는 이 비율을 맞추기 위해 은행채를 많이 발행하게 된 것입니다. 유동성 커버리지비율이라는 것은 은행이 가지고 있어야 비상시 대응할 수 있는 일종의 비상금입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이유는 미국의 금리동결입니다. 외관상 금리를 올린 것은 아니지만 내부적으로는 연내에 추가적인 인상이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라는 내용으로 인해 국내에도 영향을 준 것입니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것이 코픽스라는 것입니다. 이 코픽스도 다시 올라갈 것이라고 합니다. 이로 인해 변동금리 대출도 추가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코픽스 구성의 하나가 바로 은행채입니다. 은행채금리가 상승을 하면서 코픽스도 올라가고 있는 것입니다.
주택거래 매물 증가 이유
이렇게 주담대 금리가 올라가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지역에서는 집을 팔겠다는 매물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많이 매물이 증가한 것인데요. 이유는 역전세 영향으로 보증금 반환부담으로 매물이 늘어났습니다. 갭투자를 한 임대인이 역전세로 인한 전세 보증금 차익을 마련하지 못한다면 집을 팔 수밖에 없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올해 하반기 가장 높은 가격으로 체결되었던 전세만기 도래하기 때문에 하반기가 역전세의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고금리 담보대출이 가계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매물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집값은 하락하지는 않았고 집주인들은 집값상승에 대한 기대로 비싸게 내놓고 실수요자는 더 내리면 사겠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로 인해 거래가 체결되지 않고 매물이 쌓이고 있는 것이다라는 의견입니다.
이상 금리 다시 상승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부동산 정보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 시 알아야 하는 기본 상식(미분양/중도금 후불제/부적격/중복 청약/부양 가족/무 주택 요건) (0) | 2023.06.20 |
---|---|
6월 새로운 소상공인 지원 제도알아보기 (0) | 2023.06.19 |
병원 동행 매니저(병원 안심 동행 서비스) (0) | 2023.06.17 |
보장 성 보험 가입자를 위한 3가지 혜택 (건강 체 할인,건강 생활 실천 지원 제,건강 생활 유지비 지원) (0) | 2023.06.16 |
6월에 신청 가능한 정부 지원금 3가지 한방에 정리 (0) | 2023.06.15 |
댓글